성균관대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대학원 관련 셀프 정보 정리
본문 바로가기
대학원/대학원 준비

성균관대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대학원 관련 셀프 정보 정리

by Llogy 2024. 4. 23.
반응형

* [2025.02] 2026년도부터 성대 데사융 평일 야간 수업합니다.

https://ads.skku.edu/ads/notice_grad.do?mode=view&articleNo=186538

 

공지사항 - 대학원 게시판읽기 ( 학과 수업 운영 요일 변경 안내 ( 2026년도부터 실시 예정 ) ) |

공지사항 - 대학원 게시판읽기 ( 학과 수업 운영 요일 변경 안내 ( 2026년도부터 실시 예정 ) ) | 성균관대학교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ads.skku.edu

 

 

 

데사융 대학원 입학 전에 내 스스로가 궁금했던 점을 떠올려 추가로 써본다.
 
※ 기억나는 대로 쓰며, 이 글은 학교를 다니면서 앞으로도 계속 수정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 업데이트 : 2024.02.02


1. 수업 시간표

데사융 학과 실제 수업 시간표

 

* [2025.02] 2026년도부터 성대 데사융 평일 야간 수업합니다.

 

 아직 25년도라 일단은 현재의 방식을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1) 토요일 위주의 수업 방식

 

서울 중심부에서 혜화역까지 평일 저녁에 가는 건 빡세기 때문에
토요일 수업만 3개를 신청할 생각으로 이곳에 입학했다.
 
but 2월 초 OT 에야 실제 수업 시간을 알게 됐다.
단, 타과 수업은 정상적인(?) 시간대로 수업한다는 점에 유의해서 수강 신청을 해야 한다.

2) 평일 저녁 수업

평일 중에서는 주로 금요일 저녁에 있는 편이다.
 
평일 저녁 수업은 교수님 by 교수님이다.
자연어처리 수업의 경우에는 금 19시부터 zoom 수업이 있다.
 
인공지능을 위한 수학은 인공지능융합학과 과목이지만 전공 인정되는 과목인데,
해당 과목은 수업이 월 19시 반부터 zoom 수업이 있다.


2. 스터디 지원

 

1) 스터디 소개

 

학과에서 학기 별로 조별 스터디를 신청받는다. => 스터디 지원 선정 글에서 언급
https://datapoint.tistory.com/40

 

스터디 지원 선정

2월에 과에 스터디 신청했는데, 이제야 글을 쓴다 ㅠ 2/15, zoom으로 OT가 있었다. 2/16, 직원 분께서 동기들이 모인 카톡 단체방을 만들어주시고 나가셨다. 2/19, 과에서 스터디 신청을 받는다고 메일

datapoint.tistory.com

 
학과소속 재학생(최소 4인~8인)으로 구성된 학업 및 연규교류 목적의 스터디로,
팀별 50만원 한도 내 사용 가능하며, 사용처에 대한 제한이 있다.
 
수업을 복습하는 조도 있고, 논문을 보는 조도 있고, kaggle을 도전하는 조도 있고 제각각이다.
 
의무는 아니고 선택사항인데, 매 학기 무조건 할 계획이다.

스터디 설명은 메일로 날아왔다. 이정도는 올려도 되겠지 뭐ㅋ

 

2) 진행 상황

 

- 첫 학기 우리 조는 논문 스터디를 진행
- 2학기는 비전/자연어처리 중 마음에 드는 내용에 대해 자율 발표... 별로 못 함 ㅋㅋㅋㅋ

 

Tip. 다른 조 보니까 연초에 레포트 먼저 다 써놓고, 점심 먹고 책 사면서 노는 것도(?) 괜찮아 보임

3. 장학금

 

참고) 新대학원우수장학금 은 일단 4대 보험 가입자 가 불가능하니 직장인은 안 되는 거 같.
https://gradschool.skku.edu/grad/life/scholarship.htm
https://sw.skku.edu/sw/grad_data_intro.do
 
물론 대학원도 학자금 대출이 있다.
내 경우는 성과급으로 내돈내산 하고 있다. ^^!
하지만 학자금 대출은 저금리라, 대출받아서 예금이라도 하는 게 이득이라 대출을 받을 생각이다. (...)
* 7월 쯤 학자금 대출을 받게 되면 별도의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참고로 연말정산 시 (한도 x) 본인 교육비는 납부한 전액에 대해 15% 환급받을 수 있다.
 
* 심산장학금
첫 학기에만 모든 학생들에게 심산장학금이라는 것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 계획서를 학과에 제출하면 약 23만원을 받을 수 있다.
나는 기계학습특론 중간고사 대체 과제로 개인 프로젝트 했던 걸 그대로 써서 낼 생각이다. ㅋㅋㅋ 날로 먹기
...근데 빅데이터 학과 (특대) 다니는 지인은 못 받은 거 같다.

신입생 전부 대상이다. 오해 노노.

 
아래 부분은 팩트 체크를 해봐야 할 거 같다.
지인의 지인이 이곳을 이미 졸업했대서 들은 얘기를 쓰자면,
일반대 데사융은 성적 장학금이 있는데,
특대 빅데이터 학과는 없다고 들었다.

4. 전공 과목 수강 후기

 

는 학기 끝날 때마다 써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1) 1학기

- 기계학습특론

 

일단 이 과에서 무조건 들어야 하는 강의로 보임 (논문 졸업 시, 시험 보려면 들어둬야 함)
내 수업을 가르쳤던 분은 이번 까지만 가르쳐서 내 강의 수강 후기가 의미는 없을 듯 싶다.
플젝을 하고 레포트를 써보면서 글쓰기에 대해 익히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래서 2학기 때 교수님이 복귀 (?) 하셨대서

다른 동기에게 후기를 간략하게 물어봤는데... 온라인 zoom 수업할 때도 있고

이 교수님이 졸업시험 출제하는 분 맞음. 강의도 괜찮다고 들었...습니다. 

근데 사전에 논문 보라고 해놓고

4명인가 그날 그날 랜덤으로 논문 발표시키고, 거부하면 0점이라 카더라는 후기가 너무 무서웠다..

- 딥러닝

이것도 일단 이 과에서 무조건 들어야 하는 강의로 보임 (과제는 어려운데 강의는 좋.. ㅎㅎ 선대 미분 정도는 알 거라고 생각하고 진행하는데, 사실 어려운 개념이 나오진 않음 다만 편미분이나 행렬 계산 정도는 알아야 한다 ~ 정도 ?)
물론, 과제 어렵고, 시험도 어려운데, 대학원생이라면 들어야한다고 생각한다.

 

강의는 진짜 좋음. 다만 1학기에만 열리니까 수강 신청에 주의.

- 응용 데이터 분석 : SDS 연계 개설
일단 교수님이 두 분이다. 이번 학기까지 하시나 했는데, 앞으로도 계속 하신다고 한다.
한 분은 엔지니어 쪽, 한 분은 분석 쪽인데, 두 분다 현직으로 있어서 그런 점이 반영된 부분이 좋았다.

 

- 논문 어쩌고
P/F 과목이라 기억에 남지 않음. 하하

영어, 한글 2종류가 있는데, 다들 대체로 영어로 듣는 거로 보이긴 했다 ㅎ. 아님 말고 ㅠ

혹시 모르니까 라는 마음인걸까.

 

2) 2학기

- 인공지능을 위한 수학

 

너무 바빠서 zoom 듣기도 힘든 사람 추천. zoom 켜놓고 수업 안 합니다.

기말고사 기출 올려주셔서 바짝 공부하면 됩니다.

 

2학기 때부터 최적화 쪽이 빠지면서 쉬워져서 선형대수학과 비슷해져서

선형대수학 들을 사람은 안 들어도 될 거 같아요.

* tmi 학부 수학과라 선형대수학 이라는 과목명 때문에 대신 이거 들음

 

- 다변량 통계

기초통계를 기계적으로만 받아들이고 외웠다면, 기초통계 먼저 듣는 게 괜찮을 거 같음.

통계를 왜 배울까 어떤 의미일까 잘 모르겠다 싶은 사람이면 기초통계 - 다변량 통계 순으로 추천.

 

시험이 없고, 과제는 있는데, r 코드를 주셔서 레포트는 금방 쓸 수 있는데, gpt 쓰지는 마라고 말하시긴 했습니다.

출석이 중요하고, 출석을 못 한다고 사전에 메일 쓰면 감안해주시고,

지각해도 수업 끝날 때 출석 부를 때만 출석한 상태이면 상관 안 하시는 듯...

 

- 자연어 처리

참고로 2학기에만 수업이 열립니다. 컴퓨터비전과 같은 시간에 수업이 열리는 점에 주의.

기술에 대한 이론적 부분 외에도

언어학 그 자체에 대한 부분도 강의에 포함돼 있습니다.

 

실시간 수업은 질의응답을 기반으로 하며,

 

1번은 2인 1조로 논문 리뷰 발표를 해야 하는데,

(주관적인 후기일 수 있음) 발표 순서가 늦어질 수록 ppt에 바라는 점이 많아지시는 느낌...적인 느낌임. 

5. 입학 동기들

어쩌다 직무 + 직장 여부 + 직장(업종)를 까게 됐다. 다양한 곳에서 왔다.
(서로 직장 과 직무 정도는 깠(?)지만 그걸 여기 쓸 수는 없으니까... 안 씁니다 ㅇㅇ)
- 대부분이 직장인이긴 하다. 내 생각보다 현직자가 꽤 있는 거 같다. 석박이 중요해서 그런 거 같기도 하고.
- 물론 비전공자 (인문대생)  + 취준생도 있다.
- 연구실 들어간 사람은 직장인은 못 본 거 같은데, 이 부분은 data가 부족해서 모르겠다.
- 나이는 까는(?) 대상에 없어서 대화해 본 사람만 아는데,
88도 있고, 90도 있고, 98도 있고 00도 있고 굉장히 다양하다. => 대학원생 4주차 후기에서 언급


6. 내 스펙

 

위에 동기들 봐서는...
솔직히 스펙이 중요한지는 잘 모르겠다. 뭐가 중요한 건지 잘 보르겠다.
 
2024 입학부터 서류전형이 생겼으니 일단 글을 잘 써야 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 학업계획서 글에서 언급
https://datapoint.tistory.com/25

 

성균관대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대학원 학업계획서 작성 tip

이번 2024 전기 모집부터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는 서류전형이 추가되었다. 경쟁률이 너무 높아져서 그런걸까? 빅데이터 분석/인공지능 쪽 현업은 아닌데 서류에 당최 무엇을 써야 하나 고민이

datapoint.tistory.com

 
내 스펙은 이미 진학 이유 글에서 썼는데, 질문 댓이 한때 계속 생겨나서 굳이 조금 더 쓰자면,
남들 아는 학교 (최상위권 x) / 수학과 (복전 x)  / 학점 3.3 (물어 물어들 보시길래...ㅎ)
/ 영어 성적 미제출 / 대리급 경력 / 현직 개발자 (그냥 어쩌다 갖게 된 직업일 뿐...ㅎ 데분 데엔 인공지능 다 아님) / 금융권 / 대기업
 
굳이 추가로 더 쓰자면,
빅데이터+인공지능 둘다 배운 적 있음 (공모전까지는 나가 본 정도)
그리고 입학을 위해 포폴을 제출했다는 점 정도가 특이점. (정말 진학하고 싶었음 ㅇㅇ)


7. 면접 내용

 

이미 붙어버린 마당에... 생각해 보니 면접 얘기를 별로 못 해봤다.
 
언젠가 후기를 찾아 보니, 최신 논문 본 적 있냐는 질문도 봤다...... 이런 류(?)의 질문이 없던 면접 후기도 보고.
 
이건 정말 천차만별인 듯 싶다. 일반화가 불가능하다. 솔까 복불복 수준.
- 교수한테 개 까이고 합격한 경우도 있음
- 내 경우 그런 교수는 아니었음 => 면접 후기에서 언급
https://datapoint.tistory.com/24

 

성균관대 데이터사이언스융합학과 대학원 면접 후기

대학원 합격 후 대학원 면접 후기를 써야 겠다는 생각을 했다만, 사실, 면접 당시, 키워드 정도만 메모해 둬서 그 당시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경쟁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고, 그래서인

datapoint.tistory.com

 

8. 졸업 요건

데사융 졸업 방식은 3가지 입니다.

* 2024.09 기준 입니다.

https://datapoint.tistory.com/70

 

졸업요건 완화 안내

졸업요건 변경이 된다는 얘기는 있었는데.. 완화된 거로 보여 게시글 제목에 완화라고 썼다. 학교 홈페이지에는 글 안 올라오나..? ^^... 2024학년도 2학기(2024.9.1.시행) 부터 변경되는 데이터사이언

datapoint.tistory.com

 

 

9. 연구실

 

- 연구실 들어간 사람을 봤는데, 직장인은 아닌 것을 일단 확인함

입학 후 컨택을 한 케이스...도 보이는 듯
아마도 파트타임은 안 받아주는 듯.. 한데 그런 사람을 만나게 되면 정정하겠습니다.
 
듣기로는 수원에 연구실이 있고, 데사융 강의는 서울이라,
셔틀버스를 타며 서울과 수원을 오간다고 ...ㄷㄷㄷㄷ
그 셔틀은 1시간 간격이라고 들었다.
 

반응형

댓글